저희 아이는 원래 비염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감기에 걸리면 항상 축농증이 왔었는데 작년겨울에 는감기에 걸리지도 않았는데 노란 코가 몇 달간 지속되어서 동네 이비인후과를 여러 군데 다녀보고 항생제를 먹었지만 차도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대학병원에 가게 되었고 아데노이드 비대증 때문이란 걸 알게 되었습니다. 축농증에 대해 알아보고 축농증이 오래갈 때 의심해봐야 할 원인에 대해서 적어두었으니 혹시 축농증 때문에 고민되신다면 도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축농증(비부동염)이란?
축농증(부비동염)은 코옆에 부비동이라고 부르는 점막부분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자연공이 막히게 되면서 코안의 흐름이 깨지게 되고 부비동내로 균이 쉽게 들어가게 되면서 분비물이 생기게 됩니다. 증상이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분류가 확실히 되지는 않습니다. 부비동염은 12주를 기준으로 미만인 경우 급성, 이상인경우 만성으로 분류하며 계속된 증상으로 항생제를 계속 먹어도 고통받는다면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 증상만 확인하는 것이 아닌 내시경이나 CT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성 부비동염일때 의심해보아야 할 원인
12주 이상으로 만성부비동염으로 분류되는 경우는 급성처럼 감염만이 아닌 환경적, 유전적, 생리학적, 구조적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이가 12주 이상 축농증 증상이 있을 때는 감염, 알레르기비염, 구조적 인문제, 이물질, 위식도역류증, 면역이상, 아데노이드비대증, 공해. 직간접 흡연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원인을 찾아내서 해결해야 합니다.
아데노이드 비대증으로 인한 축농증
축농증에 걸린 소아가 모두 아데노이드 비대증은아니지만 저희 집 아이의 경우 아데노이드 비대증으로 인한 축농증이었습니다. 아데노이드비대증 때문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학병원에 가서 CT촬영 후 알 수 있었습니다. 아데노이드 비대장으란 비인두의 림프조직이 과다하게 증식하여 생기는 질환입니다. 아데노이드가 비대해지면 후두로 넘어가는 통로가 작아지고 호흡할 수 있는 공간이 적어지면서 항상 입을 벌리고 숨을 쉬거나 코골이등 다양한 증세가 나타납니다. 아데노이드 비대증이라고 해서 전부 수술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증세가 약할 때는 약물 치료를 하지만 아데노이드 비대증으로 인하여 생활이 불편하다면 제거 수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희 아이경우 아데노이드 비대증으로 인해 콧속에 이물질이 제대로 빠져나가지 못해 축농증이 생겼던 것으로 아데노이드 비대증 수술을 받기로 했습니다. 물론 모든 아이가 그런 건 아니지만 이유 없이 축농증으로 고생할 경우 큰 병원으로 가셔서 사진 찍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하절기 에너지캐시백으로 전기요금 혜택받는 방법 (0) | 2023.06.03 |
---|---|
생존배낭 리스트로 미리 준비해두자. (0) | 2023.06.02 |
재난시 대피소 찻는방법과 상황대처법 (0) | 2023.05.31 |
염색약 유해성분 꼭 확인하고 염색 하세요 (0) | 2023.05.30 |
식품 방사능 검사 무료 신청방법 /식품 방사능 검사 청구제 (0) | 2023.05.29 |
댓글